새로운 노트 2025.04.09 수 오전 10:04 ・ 64분 32초 김은아
주요 주제
사업 일정과 인력 관리
UI UX 디자인 작업과 고객 요구 사항 변경 관리
긴급한 이슈 처리와 PMI의 역할
다음 할 일
배포 정책 관리를 통한 명확한 정리
현상 관리를 위한 인원 필요
AI 분석을 위한 쿼리 오류 및 기능 개선 필요
알림 센터 기능 정의 및 협의 필요
요약 삼성전자, LG전자에 협력 요청
올해 사업도 잘 될 수 있도록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함
양사 간에 업무 범위와 업무 스코프를 정하고 가는 자리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함
실장님의 역할
이번 사업의 개발 PL을 맡았을 때 실장님이 초반에 얼마나 상주하고 계실지 모르겠지만 이번에는 PL 권한을 좀 명확하게 가져가야 되지 않을까 생각함
작년 같은 경우는 PL이 뭔가 결정 사항이 필요한 경우에 결정을 할 수 있는 부분이 거의 없었음
이번 사업 같은 경우는 기획은 실장님하고 tad 전적으로 하면서 기획이 나오면 문서 작업까지 같이 하셔가지고 저희한테 던져주시고 문서가 나오면 그거에 따라서 디자인이나 퍼블리싱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업데이트를 해드리고 그렇게 진행하는 걸로 생각하고 있음
개발자 인력 부족
오픈베이스의 의견이라고 생각하고 고충에 대한 이야기를 잘 들었고 보완을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함
n 소프트웨어 측에서 받아들이시기에 맞지 않는 것이나 원래 의도하신 바가 있다면 얘기를 해 주면 좋을 것 같음
이슈 발생 시 대체 인력은 개발 일정이 타이트하고 개발을 하기 위해서 명확하게 모모스가 측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인력에 변화가 있으면 바로 교체 인력을 넣어서 대체 인력을 지원을 해야 함
개발 PL의 권한은 개발자들이 차장님 한 분이랑 과장님 한 분을 중심으로 3명 정도 상주하는 형태로 견적을 드리고 진행을 했었는데 개발자를 더 투입을 하고 진행을 했음
개발 PL의 권한 강화
인력이 달라졌다고 얘기를 들어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
인력이 달라져서 개발 PL의 권한을 충분히 존중해 줄 것임
현상 관리를 해야 되는 사람은 분명히 한 사람이 필요함
배포 정책까지 같이 관리를 해야 명확하게 정리가 될 것 같음
알림 센터
일정이 있음
8번과 9번은 일정이 있음
8번은 조금 이따가 얘기를 해야 함
알림 센터는 뭔지를 몰라서 협의가 필요함
카페 기능 고도화
카페 기능 고도화에서 세부 내용은 기능 위주로 써 있음
카페 기능 고도화에서 세부 내용은 UI랑은 상관이 없는 세부 내용임
카페 기능 고도화에서 김은아 수석의 UI UX 부분이 들어감
UI 시스템 유지 보수
기존 시스템에서의 담당 간의 어떤 수치적인 잘못으로 인해서 유지 보수 건이 나오면 디자인적인 거에 대한 변화가 아닐 경우에는 나 실장님 쪽에서 UI 시스템 유지 보수 1명이 투입되는 데서 해 주시는 게 좋을 것 같음
완전한 해결은 담당자들의 역할에 따라서 나누는 게 좋을 것 같음
백엔드의 변화
데이터를 일부는 오라클로 옮길 수도 있음
의사 결정은 고객의 의사 결정임
백엔드 쪽에 변화가 있을 때는 애매한 부분이 있음
백엔드 개발자 채용
백엔드 쪽에 변화가 있을 수 있는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너무 바쁘시면 저희가 판단해서 작업하는 걸로 하고 되도록이면 해주실 수 있으면 해 주시면 어떨까 함
정확한 해결 주체는 저희가 돼야 되는 게 맞을 것 같음
데이터가 어떻게 생기는지 어떤 식으로 발생을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테이블만 만들어 주면 데이터가 잘 이관만 되어 있으면 화면에다 적용하는 거는 저희가 함
UI UX 개발
담당관이 사업 시작하기 전에 개발자들 투입해서 의견을 주시긴 했음
UI UX 관련돼서도 작업이 필요한 부분이 나올 거임
사업 전에 알림을 만들려면 일정에 넣어야 함
UI UX 개발자 채용
4월은 예정돼 있는 게 있어서 개발자 입장에서는 UI UX가 나와야 시작할 수 있는 부분임
데이터만 나오면 거기 붙인 다음에 바꾸면 되는 문서는 있음
이재근 수석이 확인해 보고 만약 그래야 되면 김은환 수석이 투입이 돼야 함
AI 분석의 한계
AI 분석에 대해서 쿼리에 무슨 오류가 있는지 기능 개선이 필요한지 지원을 해 줘야 함
쿼리의 내용이나 테이블에 무슨 내용이 들어 있는지까지는 모름
고객의 유지 보수 건에 대해서 데이터가 이상하게 나와요라고 했는데 검색해 보니까 실제 쿼리에서 데이터가 나오면은 볼 수 있는 게 없음
고객의 요구에 먼저 나서지 마세요
맥락을 이해해 줬으면 좋겠음
고객이 구체적인 얘기를 하지 않는데 먼저 나서서 하기보다는 고객한테 설명을 하고 고객이 합당하다고 승낙했을 경우에는 진행을 하는데 먼저 진행하지 말라는 얘기임
스토리보드의 중요성
기획 문서가 있어야 디자인 작업을 어떻게 하겠다라는 게 나옴
스토리보드를 말하는 것임
신규 화면에 대해서 얘기를 하는 것임
고객의 요구 사항 변경
고객이 요구 사항을 변경할 때는 김은하 수석이 고객과 협의하는 지점에 계속 들어가 있었음
올해 발생하는 모든 이슈
올해 발생하는 모든 이슈를 다 포함한다가 되어 있기 때문에 뭐가 나올지 모름
올해 발생하는 모든 이슈를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이슈들도 추가적으로 계속 포함이 될 거임
긴급성에 따라서 즉각적으로 처리해 줄 게 있고 우리가 못할 수도 있는 거임
UI UX 개발자의 역할
긴급성을 요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PMI에게 요구를 하면 그 부분은 저희가 UI UX 하는 부분으로 붙어서 하겠다고 진행을 하라고 함
긴급한 건이 있을 수 있으니 미리 말씀을 드리는 거라고 함
고객의 변심
고객이 변심을 해서 바꿔달라고 한 것인지 원래 요구 사항대로 만들었으면 안 해도 되는 변경 사항인지에 따라 통계가 다름
고객이 잘못했다고 얘기하는 건 아니지만 고객의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해 봐야 함
clovanot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