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See attached files
출력
# [Analysis] 이 문제는 **가격상한제(Price Ceiling)** 의 효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가격상한제가 **바인딩**(<<|P_c < P^*|>>)될 때의 전형적인 효과(소비자잉여, 생산자잉여, 총잉여, 암시장 형성 등)를 토대로 각 선지를 검토합니다. --- # [Solution] 1. **바인딩 여부 확인** - 가격상한제가 효과가 있으려면 <<|P_c|>>(상한가격)가 시장균형가격 <<|P^*|>>보다 낮아야 한다. - 이때 거래량은 <<|Q_s < Q^*|>>가 되고, 초과수요(품절)가 발생한다. 2. **소비자잉여(CS) 변화** - 거래량 <<|Q_s|>>까지는 소비자가격이 낮아져 CS가 증가한다. 3. **생산자잉여(PS) 변화** - 거래량도 줄고 가격도 낮아지므로 PS는 **반드시 감소**한다. - **PS가 증가할 가능성은 없다.** 4. **총잉여(TS) 변화 및 사중손실(DWL)** - 낮은 가격과 감소된 거래량으로 인해 거래하지 못하는 수요·공급자 사이에 사중손실이 발생하므로 TS는 감소한다. - 따라서, **바인딩된 가격상한제 하에서는** 사회전체 후생이 감소한다. 5. **암시장 형성 가능성** - 초과수요로 인해 비공식 암시장이 나타날 수 있다. 6. **각 선지 검토** 1) 사회 전체의 후생이 언제나 감소한다. ⇒ 바인딩 시 TS 감소 **(맞음)** 2) 지대추구행위가 나타날 수 있다. ⇒ 맞음 3) 공급자들이 공급하는 재화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 맞음 4) 불법적인 암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 ⇒ 맞음 5) 생산자 잉여는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 **틀림** (PS는 반드시 감소) --- # [Answer] 정답: **5번** <<|5\ \text{번 }|\ 생산자 잉여는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