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나는 2이기도 하고, 7이기도 하며 반대의 의미로는 8이 있어
출력
[Analysis]
– 수수께끼 문장:
“나는 2이기도 하고, 7이기도 하며
반대의 의미로는 8이 있어”
– “~이기도 하고” “~이기도 하며”라는 표현은 하나의 값이 여러 다른 값이 될 수 있음을 암시.
– 2, 7, 8을 모두 나타낼 수 있는 대상은 무엇인가?
– 십진법 이외에 다른 진법(기수법)에서 같은 표기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
[Solution]
기수법(진법) 개념
– 같은 자리수 표기(예: “10”)라도
· 이진법(base‐2)에서는 2
· 육진법(base‐6)에서는 6
· 십진법(base‐10)에서는 10
· 칠진법(base‐7)에서는 7
· 팔진법(base‐8)에서는 8 로 읽힌다.“나는 2이기도 하고, 7이기도 하며”
– 표기가 “10”일 때
· 이진법(base‐2)의 “10” → 십진수 2
· 칠진법(base‐7)의 “10” → 십진수 7“반대의 의미로는 8이 있어”
– 여기서 “반대의 의미”를 ‘기수(베이스)를 바꿔서’라는 뜻으로 해석하면
· 팔진법(base‐8)의 “10” → 십진수 8
[Answer]
정답은 “10” (열)이다.
– 같은 표기 “10”이지만,
· 이진법에서는 2
· 칠진법에서는 7
· 팔진법에서는 8 이 된다.